솔루션개발팀 인턴 채팅 및 FDS 서비스 개발, SEO 관리 툴 개발
인터널 플랫폼으로 팀 내 업무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에 기여
신뢰 확인 및 취소 방지를 위한 채팅 유도 프로세스 도입으로 거래 취소 빈도 7배 감소
기술 공유를 통한 팀 성장 주도
'AWS 서버리스 사용자 소모임', 'AWS Building Block' 참여 후 팀 세미나 진행
기술 콘퍼런스 참여 사내 소모임 주최
이벤트 알림 메시지 템플릿 ⇢ 노코드 플랫폼으로 이관
DynamoDB
로 마이그레이션SEO 관리를 위한 인터널 플랫폼 개발
Go
기반 Serverless Framework
로 상품 게시물 정보를 추출 서비스 개발
일일 사용량에 따라 삭제할 인덱스 스케줄링 후 배치 작업 설계
디바이스 확인 및 웹 채팅 확인 프로세스 개발
AWS OpenSearch
에 적재하는 로직 개발신뢰 확인 및 취소 방지를 위한 채팅 유도 프로세스 개발
타 유관 부서(앱 개발 팀/결제 서비스 팀)와 API 스펙 관련 논의를 진행 후 인터널 API 개발
웹 소켓 서버에서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 후, 채팅 후처리 서버에서 최종 채팅 시기 파악
웹 결제 기능 런칭에 따른 API 이상 요청 분석
채팅 관련 API 요청 시, 다수 요청이 들어오는 IP에 대해 API 요청 제한 설정
DynamoDB
로 로깅용 테이블 설계 후, API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 기록
개발팀 인턴 AI 멀티 모달 비디오 검색 시스템 개발
비디오 처리 RESTful 아키텍처에서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로 마이그레이션
비디오 송출 모듈 SSE 구현
개발 환경 변수 관리 프로세스 AWS Secrets Manager
적용
포토부스 내 포즈추천 서비스
현재 MAU 250, WAU 80 의 웹, iOS 서비스를 배포 진행 중입니다.
포토 스트리트 오프라인 매장에 지면 홍보를 통한 서비스 마케팅을 진행 중에 있으며 리텐션율 20%를 달성하였습니다.
매주 스크럼 회의 진행 및 매월 KPT 회고 진행을 통해 프로젝트 리더로서 프로젝트 관리 방법을 익혔습니다.
1. 포즈별 태깅 데이터 구성을 위한 Custom Repository 구현
이슈
해결과정
Spring QueryDSL
로 Custom Meta Data를 구성해서 해결했습니다.JPA
를 이용해 CustomRepository 를 구현하였습니다.2. AWS ALB / Route53으로 배포 서버와 API 서버 분리 작업 수행
이슈
AWS Certificate Manager
를 통해 인증서를 연결하여 SSL 연결을 수행해야했습니다.해결과정
AWS Certificate Manager
에서 인증서를 생성하였습니다.AWS ALB
와 연결했습니다.3. AWS Lambda로 이미지 업로드 자동화 진행
이슈
AWS Lambda
로 로직을 분리했습니다.해결과정
AWS Lambda
로 이미지 업로드 발생 시, 이미지 태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현하였습니다.AWS Lambda
와 AWS EventBridge
기반 AWS S3
트리거를 연결하여 S3
에 파일 업로드가 발생하면 파일 이름에서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자동으로 S3
로 업로드 되도록 구현했습니다.표정을 기반으로 한 자동 녹화 및 앨범 제작 웹 서비스
크래프톤 정글 1기 나만의 무기 만들기 파이널 프로젝트에서 팀 리딩과 최종 발표회에서 발표를 진행하고 협력사들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모바일과 데스크탑 환경 간의 영상 해상도차이로 인한 서버 로딩 속도를 코덱 변경을 통해 해결하며 영상 처리에 대해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영상 저장 부분에 대해 서버에서 처리하던 로직을 AWS Lambda
로 전환하여 영상 저장 속도를 10배 개선하였습니다.
아이디어 수립부터 팀 빌딩까지의 전 과정을 리딩하였고 스크럼 / 인스펙션 / 스프린트 진행을 통해 애자일 프로세스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1. 데스크탑과 모바일 환경 간 비디오 코덱, 디바이스 사양 차이 해결
이슈
해결과정
FFMPEG
라이브러리에서 H264 코덱을 통한 비디오 변환 작업의 속도가 더 빨랐기에 H264 코덱 지원이 되는 웹 및 안드로이드 녹화 비디오에는 H264 코덱을 통한 비디오 변환을 수행하였고 iOS 비디오에는 VP8 코덱을 이용하여 비디오 변환을 수행하였습니다.WebRTC
로 스트림만 받아오고 감정 인식과 녹화는 기존 웹 기반 서버에서 이루어지도록 구현했습니다.2. 모델 로드, 비디오 녹화, 감정 정보 갱신의 작업 분할을 통한 동시 작업 처리
이슈
해결과정
3. 비디오 변환 작업 AWS Lambda를 기반으로 한 이벤트 처리로 영상 저장 속도 10배 개선
이슈
해결과정
AWS S3
에 녹화된 비디오가 저장이 되면 AWS EventBridge
에서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AWS Lambda
에 지정해둔 핸들러 함수를 작동시켰습니다.서로 다른 곳에 있어도 함께 공부하는 느낌을 주는 비대면 스터디 서비스
미디어 송수신 구조를 의 Mesh Network 에서 Selective Forwarding Unit 로 개선하여 클라이언트 스트림 연결 속도를 4배 개선 하였습니다.
GitLab Pipelines
로 CI/CD 플로우를 구축했습니다.
개발 환경과 프로덕션 환경의 분리를 통해 별도 로그 및 DB 관리를 효율적으로 진행하였습니다.
2022년 ICT멘토링에서 GitLab 우수 사용자로 선정되어 온라인 웨비나에서 ‘우리 팀이 GitLab으로 협업하는 방식’ 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1. 미디어 송수신 구조 Mesh 방식에서 SFU 방식으로 전환
이슈
해결과정
WebRTC
기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P2P 스트리밍 방식에서 Node.js
의 mediasoup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SFU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환하였습니다.socket.io
를 이용해 관리 했으며, 방 코드를 mediasoup
서버로 전달하여 사용자들 간의 미디어 연결을 중개하였습니다.2. GitLab Pipelines DinD 방식을 이용한 배포 자동화 플로우 구현
이슈
AWS EC2
에 배포 할 때, 변경 사항이 생길 때마다 리포지토리 pull을 받고 PM2
를 다시 돌리는 작업을 반복했습니다.PM2
의 프로세스가 재시작하는 과정에서 dump 파일이 덮어씌워지며 프로젝트 빌드가 실패했습니다.해결과정
GitHub
과 GitLab
Sync를 동시에 관리하며 GitHub Actions
가 무한정으로 돌아가는 문제가 발생해, 배포 리포지토리에서 업데이트 사항 로그 남기고 커밋과 태그로 관리하는 방식으로 변경했습니다.GitLab Pipelines
가 돌아가도록 구성하였고 build / deploy 스테이지를 구성하여 작업을 분리하였습니다.AWS EC2
인스턴스에 미리 설정해둔 GitLab Runner
내부에서 클라이언트 컨테이너와 서버 컨테이너가 돌아갈 수 있도록 GitLab Pipelines
를 구축하였습니다.3. 프로젝트 배포를 위한 프로덕션 환경 구성
이슈
해결과정
Node.js
의 winston
과 morgan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배포용 로거와 개발용 로거를 만들었습니다.AWS S3
에 저장해 이슈를 모니터링하였습니다.Node.js
의 crypto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암호화 / 복호화를 진행해 사용자 인증 로직을 구현하였습니다.안양대학교 과제 관리 및 맛집 공유 서비스
학교 포털 시스템과 연동시켜서 회원 정보를 관리하였고 Redis
를 이용한 세션 관리 방법을 익혔습니다.
비대면 학습 기간 동안 교내 학우들을 대상으로 총 사용자 1,200명을 달성하였습니다.
Spring Cloud Eureka
로 메인 서버와 이미지 서버를 분리하여 서버 응답 속도를 1.5배 개선하였습니다.
1. 리뷰 및 프로필 이미지 업로드를 위한 이미지 전용 서버 구축
이슈
해결과정
Spring Cloud Eureka
를 도입하여 서버 애플리케이션 내에 MSA
로 메인 서버와 이미지 업로드 서버를 분리했습니다.Spring Cloud Eureka
를 통해 내부적으로 이미지 서버로 연결하여 별도로 로깅과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였습니다.